분류 전체보기99 비자성 생물체에서 미세 자기 나침반 존재 실험 자기장 감지는 철분이 있어야 가능한가?자기장을 인식하는 생물은 흔히 철 기반 구조를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철을 함유한 마그네타이트 결정체가 방향을 감지하거나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데 활용되는 사례는 조류, 어류, 박테리아에서 보고된다. 하지만 최근, 철 함량이 극히 낮은 생물에서도 외부 자기장 변화에 반응하는 행동이 관찰되며, 비자성 생물체 내부에도 일종의 '미세 자기 나침반'이 존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비자성 생물의 자기 민감성 관찰2022년 영국 맨체스터 대학의 연구팀은 선충(C. elegans)을 자기장 차폐실에서 배양하고, 이후 자장을 인위적으로 변화시킨 환경에 노출시킨 실험을 진행했다. 놀랍게도 일부 선충은 일정한 방향성을 유지하며 움직였고, 이 반응은 세포 내 철 농도와 .. 2025. 5. 14.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 99 다음